내 학생 마음 건강 도와주기
제 2023-1호 교사용(공통)
세계보건기구(WHO)는 아동·청소년의 5명 중 1명이 마음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, 성인이 경험하는 심리적 문제의 절반 정도는 14세 이전에 생긴다고 발표하였습니다. 신체 건강을 위해 국가건강검진을 받게 하여 암과 같은 병을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처럼, 교육계에서도 학생들의 마음에 생기는 문제를 조기에 알아내고 도와주기 위한 시스템을 만들고 있습니다.
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아이들의 마음 건강관리를 위해 학교에서 진행하는 상담주간을 준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
□ 상담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다면 학부모는 교사와 대면 상담 후에 크게 만족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 가능하면 회기 당 20분-30분 이상의 충분한 상담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.
□ 학부모 상담 시작 전에는 교사의 감정이 어떠한지 스스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. 내가 긴장하고 있는지, 화가 나 있는지, 지쳐서 아무 생각하기도 싫은 상태인지 등 상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신의 감정을 점검하고 심호흡하며 준비합니다.
□ 학부모와 이야기 나눌 주제 2~3가지 정도를 종이에 적어봅니다. 학생이 가정과 학교에서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.
□ 상담 시 학부모의 반응이 긍정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당황하지 않고 학부모의 말을 경청하면서 공감해 주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 한 번의 상담으로 해결되지 않은 내용은 다른 기회나 방식으로 접근할 계획을 세웁니다.
2
□ 상담 시 학부모가 교사에게 보이는 반응이 부정적이라면, 교사는 개인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것이 필요합니다.
- 왜냐하면 학부모가 과거의 경험으로 형성된 선입견으로 인해 교사와의 상담 장면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
- 또한 학생에 관한 이야기를 학부모 본인에 대한 개인적인 공격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.
□ 교사가 상담 현장에서 학부모의 부정적인 반응을 개인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면, 교사는 그 자리에서 학부모에게 분노 반응을 표출하거나, 교사 자신의 탓으로 돌려 마음에 상처를 입을 수 있습니다. 결국 교사와 학부모 모두 마음이 무거워진 채 상담이 끝날지도 모릅니다.
□ 학부모와 상담이 끝나고 난 이후에는 한걸음 떨어져서 대화 양상을 돌이켜보고 교사 자신의 감정과 반응을 인식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혹시라도 교사의 어떤 말이나 단어가 학부모에게 강한 감정 반응을 일으켰는지, 교사로서 놓쳤던 다른 요인이 있는지, 숙고해 보고 필요하다면 동료 교사나 선배 교사와 상의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.
3w
□ 학교에서 이용할 수 있는 Wee 클래스나 Wee 센터 외에 각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마음 건강 전문기관이나 이용할 수 있는 기관을 찾아보고 학부모에게 안내할 수 있습니다.
□ 1577-0199(정신건강위기상담전화)는 24시간 시군구별 정신건강 전문 요원이 정신건강 상담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정신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전문 의료기관을 안내하는 기관입니다.
□ 학생이 이용할 수 있는 전화와 모바일 상담으로 1388(청소년위기응급 전화)과 청소년 모바일 상담 ‘다들어줄개’(teentalk.or.kr)가 있습니다. ‘다들어줄개’는 SNS나 어플리케이션, 문자(1661-5004)를 통해 청소년에게 24시간 전문화된 상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
□ 집중력 문제, 우울감, 불안 등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는 학생은 스스로뿐만 아니라 주위 친구들 그리고 학교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전문기관에서 도움을 제때 받는다면 학생이 고통받는 기간을 줄일 수 있고, 학생의 건강한 성장에 큰 도움이 된다는 점을 기억해 주세요.
학부모와 상담을 통해
학기 초 개별 학생의 특성과 장단점을 파악하고
조기 개입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세요.
의사소통이 어려운 학부모와 학생을 돕기 위한
계획을 세우고 실천하기 위해서는
자신뿐만 아니라 동료 교사, 선배 교사,
전문가와 전문기관의 조언과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2023. 03.
OO 학교장
본 뉴스레터는 교육부와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가
한국학교정신건강의학회에 의뢰하여 제작하였습니다.
본 뉴스레터에 관해 문의사항이 있으면 아래의 전화나 이메일로 연락해 주세요.
< 교육부 학생정신건강지원센터 >
뉴스레터 문의 : 02-6959-4639 (평일 09:00~17:00)
학생정서·행동특성검사 문의 : 02-6954-7210 (평일 09:00~17:00)